개념미술로 일상을 도발한 제니 홀저는 부지불식간에 미술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로 자리매김했다. “ABUSE OF POWER COMES AS NO SURPRISE(권력의 남용은 놀랍지 않다)”라 쓰인 싱글렛에 짧은 청바지 차림의 여자가 거리를 활보하는 사진은 전설로 회자되었다. 사람들은 홀저의 진실게임을 읽고 대화하고 밑줄 긋고 논쟁했다. 이 현상은 기억, 경험, 정치 성향 등을 촉매 삼아 대중을 결집시키는 서사가 되었고, 호의적이든 아니든 대중들의 반응은 작가로 하여금 작업을 지속할 명분과 힘을 주었다.
오늘날의 소셜미디어처럼 일상적 참여를 이끄는 ‘홀저그램(Holzergram)’은 여지없이 모두 대문자다.
“FEAR IS THE MOST ELEGANT WEAPON(공포는 가장 우아한 무기다)”
“YOU ARE A VICTIM OF THE RULES YOU LIVE BY(당신은 삶이 정한 규칙의 희생양이다)”
“ROMANTIC LOVE WAS INVENTED TO MANIPULATE WOMAN(로맨틱한 사랑은 여자를 조종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윤혜정) 중에서
Jenny Holzer. 제니홀저의 작품 몇 개들.
Elle abandonne alors son travail pictural abstrait, proche de Mark Rothko et de Morris Louis, et commence à utiliser le langage pour questionner la représentation. Pour sa première série, Truisms (« Truismes », 1977-1979), elle se sert de supports publicitaires ou d’espaces publics pour énoncer en majuscules des sentences telles que « la propriété privée provoque le crime » ou encore « le travail de chacun a la même importance ».
https://www.vice.com/en/article/8x8bd5/instagrams-favourite-artist-made-me-cry-jenny-holzer
https://awarewomenartists.com/artiste/jenny-holzer/
Helen Levitt (0) | 2024.08.18 |
---|---|
«Le Pilier des migrants disparus» (0) | 2023.01.31 |
Robert Polidori (0) | 2023.01.28 |
The Mother as a creator (0) | 2023.01.09 |
Tamara de Lempicka (0) | 2020.06.19 |
댓글 영역